'CMMI와 SP 비교'에 해당하는 글 1건

2017년 국내 CMMI SP인증 현황 분석

- 한국 CMMII 및 소프트웨어 프로세스(SP) 시장 어디를 향하고 있나?

 

 작성자: 비욘드프로세스 대표이사/CMMI 선임심사원/SP 선임심사원 장택상

(tschang@beyondprocess.co.kr, 010-7979-6505)

 

2017년 현재 CMMI는 전세계 아프리카 대륙을 포함98개 국가에서 심사가 수행되고 있는 프로세스 개선 모델이자 능력성숙도를 판정하는 심사 방법을 제공하는 모델이며 SP인증은 현재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과 개발 조직을 대상으로 'SW 개발 프로세스 품질역량 수준'을 심사해 등급을 판정하여 인증등급을 부여하는 한국형 CMMI로 잘 알려져 있다.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개발과 프로젝트 관리 그리고 조직의 품질 지원역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일류 IT 기업이 되기 위한 품질수준을 확보하고자 하는 공통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아직 국내 소프트웨어 개발 품질 인증제도에 대한 인식은 개선되고 있지 않다는 평가가 주를 이루고 있다.

 

2017 6월 발표된 CMMI Institute CMMI 인증 현황 발표 자료(CMMI Maturity Profile)에 의하면 18개의 서로 다른 업종에 속하는 Fortune 500대 기업들이 CMMI를 사용해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트에서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더욱이 Fortune지 분류 기준으로 볼 때 10개의 업종에서 1위와 2위 기업들이 CMMI 인증 심사를 받았다고 하는 사실은 국내 IT기업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유관 기관들이 관심 있게 받아들여야 할 내용이다.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채택하여 적용하고 있는 CMMI 인증 현황, 특히 중국과 신흥강자 멕시코의 CMMI 기반 프로세스 품질 개선 노력에 대해 알아보고, 국내 소프트웨어 프로세스(SP) 인증 현황을 분석하여 국내 IT 기업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품질의 현 주소와 향후 국내 IT 업체, 특히 중견/중소 IT 기업(SMB: SMB: Small and Medium Businesses)의 소프트웨어 품질 확보 방안을 마련하는데 참고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자료를 작성해 본다.


목차

1.   전세계 CMMI 인증 현황

2.   중국의 CMMI 추이 분석

3.   멕시코 CMMI 추이 분석

4.   한국의 CMMI SP 추이 분석

 


 

1.    전세계 CMMI 인증 현황

소프트웨어 개발 및 프로젝트 관리와 품질 지원 그리고 조직 프로세스의 품질수준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채택하여 적용하고 있는 CMMI 인증 현황을 분석하여 국내 IT 기업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품질의 현 주소와 향후 국내 IT 업체, 특히 중견/중소 IT 기업(SMB: SMB: Small and Medium Businesses)의 소프트웨어 품질 확보를 위한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20176월 기준 전세계 CMMI 심사 건수는 14%의 증가 추세 (201712월 말 기준 16% 증가 예상)를 보이고 있으며, 1,184개 기업이 6월 말 현재 심사를 수행했으며, 12월 말까지는 약 2,595개 기업이 CMMI 인증심사를 수행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CMMI(능력성숙도 모델)SP(소프트웨어 프로세스)가 공존하고 있는 국내의 경우, 최근 인증현황을 보면 다소 침체된 국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과 미국 그리고 인도에 이어 최근에는 멕시코가 SW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제품개발 품질역량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에 주목해 보자.

 

 

 

 

2.    중국의 CMMI 추이 분석

먼저 CMMI 심사 건수 부동의 세계1위 및 전체 심사 건수의 70% 이상의 차지하고 있는 중국에 대해 알아보자.

 

 

아시아의 전통적 IT 품질 인증 강국인 인도의 인증심사 건수는 최근 정체 상태를 보이고 있으나, 중국은 1999 CMM 기반 프로세스 품질 인증 도입 이후중앙정부 및 지방정부의 강력한 금전적(Incentive) 지원과 국가 시스템 개발 시 인증획득 기업에 대한 우대 정책등을 통하여 세계 최대의 인증 보유국가로 성장하였으며, 현재는 자발적인 인증 유지, 즉 인증 만료 이후 자발적으로 인증을 재 획득하는 “CMMI 인증 유지 비율 (Appraisal Retention Rate)”이 상승 추이를 보이고 있다.

 

중국의 경우 CMMI 기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 및 품질 인증 활동은 한국과 비슷한 시점인 1999년에 시작되었다. 당시만 해도 CMMI 기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 및 품질 인증은 모토롤라(Motorola)와 같은 글로벌 다국적 기업의 전유물로 인식되었는데 1999 7월 중국의 베이징 소재 소프트웨어 회사인 同方鼎欣科技股份有限公司 (Advanced Systems Development Co., Ltd.) CMMI 레벨2 심사를 계기로 도입 및 확산되기 시작하여, 2004년 중국 내 134개의 소프트웨어 개발 IT 기업에서 CMM CMMI 인증심사를 수행하여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184건의 심사가 수행되었다. 2004년 당시 중국의 소프트웨어 개발 IT 기업은 총 8900개로 추정되는데 134개 회사, 즉 약 2% 이하만이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 활동을 수행하고 인증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중국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 모델 적용 확산 강화를 위한 정책 방향은 다음 2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n  2004년 중국정부의 금융(Finance), 통신(Communication), 그리고 전자정부(e-government) 활성화 정책제안사의 CMM/CMMI 인증 요구

n  중국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강력한 지원 및 보상 제도

 

 

3.    멕시코 CMMI 추이 분석

그 다음으로 주목해야 할 국가가 바로 멕시코이다. 2013년을 기점으로 멕시코는 인증 건수 기준 세계 5위 수준으로 진입하였으며 현재는 4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멕시코의 경우 약 87%의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가 7명에서 60명 정도의 인력을 보유하고 있는 수준이며, 한국의 중견/중소 기업의 규모와 유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참고: 필자의 BLOG http://cmmi.tistory.com/9?category=770991]

멕시코가 CMMI 강국으로 도약한 배경이 무엇인지 면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기에 필자가 국내 자료 및 해외 컨퍼런스 참석 시 파악한 성장 배경을 간단히 공유하고자 한다.

멕시코 정부는 미국에 인접해 있는 지리적 여건과 미국 현지 사정에 능통하다는 입지, Near-shoring Sentiment를 최대한 활용하여 미국 기업과의 제휴를 통한 동반 성장을 목적으로 미국 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아웃소싱(BPO: Business Process Outsourcing) 사업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멕시코 IT 기업에 대한 소프트웨어 품질수준 향상 및 전문가 육성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결과 멕시코 IT산업이 2006년 이후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으며 이것은 아웃소싱 서비스 분야가 성장을 주도했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으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의 보고서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4.    한국의 CMMI SP 추이 분석

1)     CMMI 추이

한국의 경우, 2008년 세계 9위 순위에서 전통적 CMMI 인증 강국인 중국, 미국, 인도에 이어 2012 4위까지 순위가 상승하였으나, 2013년 이후 남미의 멕시코와 유럽의 스페인에 밀려 현재 6, 7위 순위를 유지하고 있다.

 

 

2017년 현재 기준으로 볼 때 국내 CMMI 인증 보유기업 수는 105개 업체인 것으로 판단되며, 최근 3년 기준으로 볼 때 매년 평균 30여개 기업이 CMMI 인증에 도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국내 소프트웨어 프로세스(SP)과 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CMMI 인증 레벨을 2개의 범주 즉 저성숙도 조직(CMMI레벨2와 레벨3), 고성숙도 조직(CMMI레벨4와 레벨5)으로 구분해서 보면 국내의 경우 저성숙도 조직은 88% 이고 CMMI 고성숙도 조직은 약 12% 정도이다. 20176 30일 기준 CMMI 능력성숙도 분석 리포트의 CMMI 성숙도 레벨 현황을 보면CMMI 인증보유 기업의 약 90%가 저성숙도 레벨인 레벨2와 레벨3이고 고성숙도(High Maturity) 조직으로 분류되는 CMMI 레벨4와 레벨5 기업은 약 10%인 점을 감안하면 국내 CMMI 성숙도 비율(저성숙도 기업과 고성숙도 기업 비율)은 거의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인증 획득 기업 수 못지 않게 중요한 지표인 CMMI 인증 유지 비율 (Appraisal Retention Rat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최근 3년간의 추이를 보면 CMMI 레벨2/3등급 기업의 수는 감소 후 정체 상태에 있으며, 고성숙도 조직으로 분류되는 CMMI 레벨4/5등급 기업의 수는 상대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으며, CMMI 고성숙도 조직의 인증 갱신율은 약 53.8%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을 파악되었다. 이 수치는 전세계CMMI 갱신율인 74%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2)     SP추이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 '연도별 SP인증심사 현황'에 따르면, SP 제도가 시행된 2009년부터 2017 7월말까지 SP품질인증을 획득한 기업은 총 110개로 나타났다. 연평균 12건에 불과하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인증 획득 기업 수를 기준으로 추이를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SP인증에 대한 필요성과 지속적인 내재화 여부와 SP인증과 비즈니스와의 연계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증 유지 비율 (Appraisal Retention Rate)에 대해서 간단히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

 

 

현재 진행 중인 2017년 자료를 제외하면 평균 갱신율이 31.4% 수준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수치는 전세계CMMI 갱신율인 74%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국내 기업의 CMMI 및 소프트웨어 프로세스(SP)인증 유지 비율 즉 갱신율은 해외 수치와 비교할 때 상당히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기에 이에 대한 근본 원인에 대해 이해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09년부터 시행된 한국형 CMMI 소프트웨어 프로세스(SP) 인증 제도는 2017년 현재 기준으로 SP 2등급 심사만 수행되었으며, 고성숙 프로세스 수준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SP 3등급 인증심사의 경우 신청 및 획득 기업이 나오고 있지 않다. 이러한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각도로 원인을 파악하고 분석하여 활성화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SP 인증제도 활성화 방안을 수립을 위해 먼저 국내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인증 제도(SP)에 대한 인지도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으며, 최근 전세계적으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품질에 관심과 투자가 집중되어 있는 중국과 멕시코의 정책을 타산지석으로 삼을 필요가 있을 것 같다.

 

[결언]

소프트웨어 강국과 소프트웨어 중심사회를 유지하고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정부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품질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 변화가 최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하며, 아울러 정부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 활성화를 위한 과감한 지원정책과 제도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CMMI V2.0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MI V2.0 모델 발표 워크숍 참관 후기  (0) 2017.05.30

WRITTEN BY
비욘드프로세스
기업경쟁력의 핵심인 현장 중심의 프로세스 혁신 체계구축 지원【※ 국내1호 CMMI 및 SP 선임심사원, 비욘드프로세스 장택상 ☎ 010-7979-6505, o2mr@naver.com】

,